간화선   Zen meditation

  • 역사
  • 화두
  • 선지식
  • 참선법

참선법

프린트 홈으로 간화선 참선법
참선이란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자기의 ‘참나’를 발견하는 수행법입니다.
참나 안에 우주의 모든 진리가 다 있습니다. 부처님도 '참나'를 알아 위대한 부처님이 되셨고, 모든 도인들도 '참나'를 알아 위대한 도인이 되셨습니다. 여러분들도 '참나'만 알면 위대한 부처가 되고 도인이 되는 것입니다.
참선이란 마음의 고향에 이르는 수행법입니다.
사람 사람마다 마음의 고향에는 팔만사천 지혜가 갖춰져 있고, 만 가지 복과 덕이 구족해 있건만 알지 못하는 까닭에 쓰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부모에게 나기 전에 어떤 것이 참나던고?” 이 화두를 들고 오매불망 씨름해서 일념이 지속되는 과정만 오면 천사람 만사람이 마음의 고향에 이르러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과 함께 억만년이 다하도록 편안한 진리의 낙을 누리게 됩니다.

첫째, 나고 죽는 윤회의 고통에서 영구히 벗어나고

둘째, 지혜를 계발하여 나고 날 적마다 출세와 복락을 누리기 위해서입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일이 무엇이냐?
사람에게 가장 큰 일은 나고 죽는 일(生死大事)입니다.
모든 생명 있는 것이 태어나고 죽는 데는 언설로 표현하기 어려운 고통이 따릅니다. 우리가 과거에 무수히 많은 생을 받아왔고, 이번 생에 이 일을 해결하지 못하면 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생을 받게 될 터인데, 나고 죽는 이 윤회의 굴레 속에서 받는 고통이야말로 참으로 무서운 것입니다. 그러한 고로 모든 사람들이 이 문제(生死大事)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바세계에 온 것이지, 달리 다른 일이 없습니다. 이 큰 일을 해결하지 못하면 사람의 몸을 받은 값어치가 없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나고 죽는 이 고통의 굴레에서 영구히 벗어나 세세생생 열반의 낙을 누릴 수가 있느냐?
오직 부처님의 최상승법인 참선법을 눈밝은 선지식으로부터 바르게 지도받아, 일상생활 속에 꾸준히 수행을 연마하여 각자 자기의 ‘참나’를 바로 봄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인신난득(人身難得)이요, 불법난봉(佛法難逢)이라. 사람의 몸 받기 어렵고, 최상승법 만나기 어렵습니다.
비유하건대, 사선천(四禪天) 하늘에서 떨어뜨린 바늘이 사바세계 제일 작은 겨자씨에 꽂히는 것과 같이 사람의 몸 받기가 어렵다 했습니다. 그러면 사람 몸을 못 받으면 어떻게 되느냐? 영혼으로서 이 우주 공간에 머물러 애착과 집착에 사로잡혀 수십년 수백년이 흐르는 수도 있고, 축생에 떨어진다는가, 아귀, 곤충 이러한 데 떨어지면 다시 사람 몸을 받는다는 것이 정말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니 이러한 좋은 법을 만난 김에 금생에 결정코 이 일을 해결해야 됩니다.
“사람들이 빈한하게 사는 것은 지혜가 짧아 그렇다.”
옛 도인들이 말씀하시길, “사람들이 빈한하게 사는 것은 지혜가 짧아 그렇다.” 하셨습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잘 살 수도 없고 출세할 수도 없습니다. 아무리 부모가 높은 자리와 많은 재산을 물려줘도 그릇이 적어서 지키지를 못합니다. 참선을 통해 지혜를 계발하면 남보다 앞서는 선견지명이 생겨 세상의 출세와 성공은 자연히 따라오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밝은 지혜는 어떻게 해야 얻을 수 있느냐?
이 부모에게 나기 전 ‘참나’를 발견하면 그 가운데 밝은 지혜가 다 갖춰져 있습니다. 이 밝은 지혜는 한 번만 뚜렷이 밝혀놓으면 억만년이 다하도록 잃어버리지 아니하고 밝아 있습니다. 지혜를 밝히는 이 참선이야말로 행복을 가져다주는 근본입니다.

사람의 몸은 지수화풍 사대(四大)로 이루어진 것으로 숨 한번 들이쉬고 내쉬지 못하면 그만 썩어서 냄새나니 화장하고 묻어버리면 아무 것도 없습니다. 그러니 이 몸은 참나가 아닙니다. 그러면 이 몸을 부모로부터 받기 전에 어떤 것이 참나입니까?
“부모에게 나기 전에 어떤 것이 참나던고?” “어떤 것이 참나던고?” “어떤 것이 참나던고” ... 하루에 천번 만번 미는 것입니다.
의심을 천번 만번 미는 것은 참의심(眞疑)이 시동이 걸리라고 미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촌에서 방아를 찧기 위해 기계에 시동을 거는데, 어떤 때는 한두 번 돌리면 시동이 걸려서 종일 방아를 찧는데, 어떤 때는 아무리 해도 시동이 안 걸려 방아를 못 찧습니다. 마찬가지로 천번 만번 의심을 미는 것은 참의심이 시동이 걸리게 하기 위해서 미는 것입니다.

(주의) 천번 만번 의심을 미는 데 있어서, 힘이 들어가면 안 됩니다. 용을 써서 힘이 들어가면 상기(上氣)가 올라 머리가 무거워 참선을 못합니다. 밥 먹는 것처럼 힘을 다 빼고 마음에 우러나오는 간절한 의심을 밀고 밀어야 합니다.

하루에 천번 만번 의심을 밀어주다보면 참의심이 시동이 걸립니다. 참의심이 시동이 걸리면 그때는 흐르는 시냇물과 같이 끊어지지 아니하고 쉬지 아니하고 밤낮으로 화두 한 생각이 흘러갑니다. 보는 것, 듣는 것도 다 잊어버리고, 앉아 있어도 밤이 지나가는가 낮이 지나가는가도 모르고 화두 한 생각이 흘러갑니다.

이렇게 간절한 화두 한 생각만 흘러가다가 홀연히 사물을 보는 찰나, 소리를 듣는 찰나에 화두가 박살이 남과 동시에 억만년 전 자기의 참모습이 드러납니다. 그러면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진리의 문에 들어가서 팔만사천 법문이 흉금에서 쏟아져 나옵니다.

(주의) 위와 같이 일념삼매(一念三昧)에 푹 빠져 크게 죽었다가 살아나야 됩니다(大死却活). 흔히 분별로써 반짝 떠오르는 생각을 가지고 ‘알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것은 다 망녕입니다.

앉아서 참선을 하실 때는 바른 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평좌(平坐, 반가부좌)를 하고 앉아서, 두 손을 모아서 배꼽 밑에 붙이고, 허리를 반듯이 하고, 가슴을 쭉 폅니다. 그러면 바른 자세가 됩니다.

시선은 2미터 아래에 두되 눈으로 노려볼 필요는 없습니다. 눈은 자연스럽게 뜨고만 있으면 됩니다. 화두는 눈으로 챙기는 게 아니라 생각으로 챙기는 것입니다.

2미터 앞 아래에 시선을 두라 하는 이유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너무 가까이 두면 고개가 숙여지고, 너무 멀리 두면 고개가 젖혀집니다.

왜 하필 ‘아래’에다 두라고 하느냐?
‘부모에게 나기 전에 어떤 것이 참나던고?’ ‘어떤 것이 참나던고?’ 하고 의심을 밀고 밀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힘이 들어가는 수가 있습니다. 힘이 들어가면 기운이 머리 위로 올라 상기(上氣)가 됩니다. 그러면 머리가 무거워 참선을 못합니다. 그래서 상기를 방지하기 위해 항상 생각을 아래에다 두라고 하는 것입니다.

(주의) 참선을 하는 데 있어, 호흡은 따로 신경을 쓰지 말아야 합니다. 화두만 간절히 챙기면 호흡은 자연스럽게 됩니다.

참선은 꼭 앉아서만 하는 게 아닙니다
일을 하거나, 청소를 하거나, 밥을 먹거나, 세수를 하거나, 목욕을 하거나, 산책을 하거나, 잠을 자거나, 가고 오고 말하고 일상생활 하는 그 가운데 오매불망 간절히 “부모에게 나기 전에 어떤 것이 참나던고?” 하는 한 생각에 몰두하는 것입니다.

이 참선공부라는 것은 오로지 마음으로 지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승속(僧俗), 남녀(男女), 그 어떠한 경계나 형상과도 무관한 것입니다.

예전에 능행파(陵行婆), 대산바자(台山婆子), 영조(靈照), 그리고 유도바(有道婆) 같은 분들은 모두 속인(俗人)이면서 여자인 몸으로 도(道)를 깨쳤는데, 그 기봉(機鋒)이 아주 날카롭고 자유자재했습니다.

그러므로 선방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바른 법문을 듣고 바른 지도를 받아서 걸음걸음 화두를 놓지 않으면, 부엌이나 안방이나 사무실이나 만원 버스 등, 가는 곳마다 일등 선방인 것입니다. 이러한 공부법을 익히지 않고, 앉아 있을 때는 화두가 있는 듯하다가 서면 달아나고 걸어가면 없어져 버리는, 그러한 공부를 짓는다면 백 생(百生)을 하더라도 진리의 눈이 열릴 수가 없는 법입니다.

우리가 좌선법(坐禪法)을 익히는 것은, 앉아서 참구하는 것이 참선을 배우는 가장 쉬운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좌선에 익어지면 다음에는 동중(動中)에 무르익어져야 합니다. 가고 오고 말하고 일하고 직장생활을 하는 가운데 익어져서, 화두 한 생각이 24시간, 365일 흐르는 물과 같이 지속되는 여기에 실다운 정진의 힘이 있는 것입니다.